지도 - 이즈니크 (İznik)

이즈니크 (İznik)
이즈니크는 터키의 아나톨리아의 부르사 지방에 위치한 도시의 이름이다.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로 니카이아 또는 니케아라는 이름으로 더욱 많이 알려졌다.

보이오티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 안코레 (혹은 헬리코레)로 출발해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후인 기원전 316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애꾸눈왕 안티고노스 1세가 다시 건설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서 안타고네이아로 불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후계자들이 안티고노스에게서 이 지역을 다시 빼앗았고 그중에 한사람인 리시마쿠스가 기원전 301년 이 도시를 자신의 아내인 니카이아의 이름을 따서 다시 니카이아로 개명하였다.

이 도시는 갈라티아와 프리기아를 잇는 요충지로 비티니아 왕국의 중요도시였다가 다시 로마에게 넘어갔고 그 뒤를 이은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이 지역의 중심도시의 역할을 했다. 특히 기독교 공의회가 이곳에서 두번이나 열렸고 (1차 공의회(325년), 2차(787년) 1204년 비잔티움 제국이 제4차 십자군에 잠시 무너지고 그 뒤를 이어 생겨난 니케아 제국은 이 도시를 수도로 하였다.

1331년에 오스만 제국의 오르한 1세는 니케아를 정복하고 이름을 이즈니크로 바꾸었다. 이즈니크는 그 후 약 100면간 오스만 제국에서 중요한 도시로 남아있다가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로 이스탄불이 오스만의 중심지로 성장하기 시작하면서 다소 쇠퇴했다.

 
지도 - 이즈니크 (İznik)
지도
구글 어스 - 지도 - 이즈니크
구글 어스
오픈스트리트맵 - 지도 - 이즈니크
오픈스트리트맵
지도 - 이즈니크 - Esri.WorldImagery
Esri.WorldImagery
지도 - 이즈니크 - Esri.WorldStreetMap
Esri.WorldStreetMap
지도 - 이즈니크 - OpenStreetMap.Mapnik
OpenStreetMap.Mapnik
지도 - 이즈니크 - OpenStreetMap.HOT
OpenStreetMap.HOT
지도 - 이즈니크 - OpenTopoMap
OpenTopoMap
지도 - 이즈니크 - CartoDB.Positron
CartoDB.Positron
지도 - 이즈니크 - CartoDB.Voyager
CartoDB.Voyager
지도 - 이즈니크 - OpenMapSurfer.Roads
OpenMapSurfer.Roads
지도 - 이즈니크 - Esri.WorldTopoMap
Esri.WorldTopoMap
지도 - 이즈니크 - Stamen.TonerLite
Stamen.TonerLite
나라 - 튀르키예
튀르키예의 국기
튀르키예 공화국, 약칭 튀르키예는 서아시아의 아나톨리아와 유럽 남동부 발칸반도의 동트라키아에 걸친 국가이다. 수도는 앙카라이며, 가장 큰 도시는 이스탄불이다. 북서쪽으로는 그리스와 불가리아와 접경하고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조지아가 위치해 있고, 동부로는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이 위치하며, 남동쪽으로는 이라크, 남쪽에는 시리아와 지중해가 자리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에게해가 있다. 대략 70%에서 80%에 달하는 인구가 튀르키예인이며, 나머지 인구는 소수민족인데, 그들 중 쿠르드인이 15%에서 20% 정도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튀르키예는 UN의 창립 회원국이고, NATO의 일원이자 IMF, 세계은행의 멤버이자 OECD, OSCE, BSEC, OIC, G20의 가입국이다. 또한 튀르키예는 1950년에 유럽 평의회에 참여하였고, 1963년에는 EEC에도 일부나마 참여하였으며 1995년에는 EU 관세동맹에도 참가하였다. 2005년부터는 유럽연합에 가입하기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2019년 3월 13일, 유럽 의회는 다만 튀르키예의 가입 협상을 중지하기로 의결하였으나,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 튀르키예의 경제적, 외교적 힘은 지역 강국의 위상을 가져다 주었고, 여러 국제기구는 튀르키예를 신흥개발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튀르키예는 세속적, 단일 의회 공화국이며 2017년의 국민투표로 대통령제를 도입하였다. 현재의 행정부는 정의개발당의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끌고 있으며, 그는 현재 케말주의와 언론의 자유와 같은 세속적 가치들을 약화시키고 있으며 이슬람교의 영향력을 국내외로 넓히려 하고 있다. 공용어는 튀르키예어, 국교를 명시하지는 않고 있으나, 튀르키예 국민들의 대다수가 이슬람교를 신봉한다.
통화 / 언어  
ISO 통화 상징 유효숫자
TRY 튀르키예 리라 (Turkish lira) ₺ 2
ISO 언어
AV 아바르어 (Avar language)
AZ 아제르바이잔어 (Azerbaijani language)
KU 쿠르드어 (Kurdish language)
TR 튀르키예어 (Turkish language)
동네 - 나라  
  •  메소포타미아 
  •  시리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이란 
  •  조지아 
  •  그리스 
  •  불가리아